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트렌드

[마케팅 트렌드] KBO 개막! 야구 직관 트렌드 & 인기 굿즈, 마케팅 활용법 총정리

by 포키킥 2025. 3. 24.
반응형

KBO 리그의 개막과 함께 야구 팬들의 열정이 다시 불타오르고 있습니다. 경기 관람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야구를 즐기는 팬들의 트렌드를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이 마케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직관 인증 문화의 확산

사진출처=X( @b56key)
사진출처=X( @r88ng2 )

팬들은 경기장을 직접 방문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스티커와 데칼을 활용하고 있습니다.특히, '무한도전 자막' 스타일의 스티커는 엑스(X) 플랫폼에서 큰 인기를 끌며 1만 회 이상의 공유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스티커는 팬들이 자신의 경험을 독특하게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포토카드와 굿즈 문화의 확산

사진출처=미도리작업실

K-POP 문화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포토카드(포카) 수집 문화가 이제는 KBO 리그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팬들은 선수들의 포토카드를 수집하고 거래하며, 키링, 티켓 홀더 등 다양한 굿즈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기아 타이거즈의 김도영 선수는 팬들에게 '역조공'을 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3. 유니폼 커스터마이징 트렌드

사진출처=@ vicddory.speaking

팬들은 와펜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스타일로 유니폼을 꾸미는 '유꾸' 트렌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구단들도 공식적으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와펜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KT 위즈는 최근 커스텀 와펜 스토어를 오픈하여 팬들의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4. 경기 후 야구 일기 작성

사진출처=하고싶은거하는블로그 @ HAEN

경기 후 자신의 감상과 스코어를 기록하는 '야구 일기' 작성이 팬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템플릿이 공유되거나, 일기 꾸미기에 활용할 수 있는 라벨 스티커 등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5. 구장 내 먹거리 탐방

각 구장의 대표 먹거리를 탐방하는 것도 팬들의 큰 즐거움 중 하나입니다. 특정 구장의 인기 메뉴를 맛보기 위해 원정 응원을 가는 팬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6. 브랜드와의 협업 사례

사진출처=연세유업

최근 연세유업과 두산 베어스의 협업으로 탄생한 '연세우유 먹산 생크림 빵'은 팬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두산 팬들의 '먹산'이라는 별명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7. 야구 중심 커뮤니티의 형성

사진출처=엘지포차 / GS리테일

SNS를 통해 직관 모임을 조직하거나, '야구 포차'와 같은 오프라인 공간에서 함께 경기를 관람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GS25는 한화 이글스 테마의 특화 매장을 오픈하여 팬들의 방문을 이끌어냈습니다.

8. 다양한 브랜드와의 협업 기대

사진출처=삼성라이온즈

팬들은 구단과 다양한 브랜드의 협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구단 마스코트의 방문이나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 유니폼 출시 등이 그 예시입니다. 특히, 삼성 라이온즈와 산산기어의 협업은 스포츠 유니폼이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9. 팬들을 겨냥한 감성 마케팅

사진출처=컴투스

야구 팬들을 위한 광고는 그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디테일을 담아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산산기어와 컴투스프로야구 등의 브랜드가 선보인 광고 캠페인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러한 트렌드들은 야구 팬들의 참여와 열정을 보여주며, 브랜드들에게는 새로운 마케팅 기회를 제공합니다. 팬들의 관심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이전 게시글 구경하기:

2025.03.21 - [마케팅 트렌드] - [마케팅 트렌드] 리브랜딩 트렌드 분석: 야놀자, 숨고, 남양의 변화와 디자인 전략

 

[마케팅 트렌드] 리브랜딩 트렌드 분석: 야놀자, 숨고, 남양의 변화와 디자인 전략

리브랜딩, 단순한 변신이 아닌 전략적 혁신 최근 다양한 브랜드가 대대적인 리브랜딩을 발표하며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리브랜딩은 단순한 디자인 변경

forky28.tistory.com